본문 바로가기

수학/긴 내용

부피와 겉넓이-1.1

 

서론

지난 글에서 둘레가 일정한 원,정사각형,정삼각형에 대해 넓이를 비교해 보았다. 원에서 정삼각형이 될수록 넓이가 작아졌다. 원을 미적분에서 다룰 때, 삼각형으로 쪼갠 뒤 극한을 보내기 때문에 원을 정무한각형이라고 해볼 때, 정n각형에서 n이 작아질 수록 넓이가 작아지는 것 같다. 이것이 실제로 그러한지, 정다각형이 아닐 때는 어떻게 되는지 알아 볼려고 한다.

 

정n각형

모든 정n각형은 외접원을 만들 수 있다. 그래서 그 외심으로 부터 각 꼭짓점으로 도형을 나눠서 n개의 삼각형으로 구해볼려고 한다. 이 삼각형은 이등변 삼각형이다. 그래서 반지름과 한 변의 길이의 관계를 할 수 있다. 그래서 반지름(R)을 한 변의 길이로 표현할 수 있고, 이를 구해서 넓이를 S=nsin(2πn)R2 이렇게 표현할 수 있다. 한변의 길이와 반지름을 생각해 보았을 때, cos제 2 법칙을 써볼 수 있다. 한 변의 길이를 l=Ln(L은 둘레)이라고 했을 때, l2=R2+R22R2cos(2πn)R2=21cos(2πn)l2=2n2L2sin2(2πn)1+cos(2πn)

S=2n3L2sin3(2πn)1+cos(2πn)라는 것을 알 수 있다.

L을 상수라고 두고 nx로 생각해서 함수를 그리면

Wolfram Alpha

위와 같이 그려진다. 따라서 이 함수는 x가 3 이상이라면 증가하는 함수이다.(더 엄밀하게는 미분을 해봐도 될 것이다.) 따라서 정n각형에서 n이 증가할 수록 넓이는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 도형

세변의 길이가 각각 9,12,15인 직각삼각형과 모든 변의 길이가 12인 정삼각형을 생각해보자. 각 삼각형의 넓이를 구해보면 54,633이 나온다. 정삼각형이 더 크다.여기서 한 가지 가설을 세워보자. n각형에서 둘레가 일정할 때, 넓이가 최대가 되는 도형은 정n각형이다라는 가설을 세워보자.

삼각형에 대해서 한 번 해보자. 세 변의 길이가 각각 a,b,c이고, s=a+b+c2라는 것을 정의하게 되면 헤론의 공식을 이용해서 넓이를 S=s(sa)(sb)(sc)로 표현할 수 있다. 둘레가 일정한 것은 s가 일정한 것이기 때문에 산술-기하 평균을 이용하면 간단하게 a=b=c여야 넓이가 최대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머지 도형에 대해서는 좀 더 복잡하게 풀어야 할 거 같다.

참고

https://en.wikipedia.org/wiki/Heron%27s_formula

 

 

'수학 > 긴 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피와 겉넓이-2  (0) 2024.07.02
부피와 겉넓이-1  (2) 2024.07.02
p진수-4  (0) 2023.12.09
p진수-3  (0) 2023.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