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우리가 파동에 대해 배울 때를 생각해보자. 처음에 배우는 내용은 아마 파동은 에너지가 전달 되는 것이지 매질이 전달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해파의 경우 물입자는 이동하지 않고, 단순히 위아래로 진동한다고 배운다. 그러나 지2를 하면 물입자는 원운동을 한다고 배운다. 여기까지는 사실 납득가능하다. 하지만 실제로는 분자가 위에 있을 수록 더 빠르게 이동하기 때문에 물입자는 파동운동 방향으로 조금씩 표류하게 된다. 이렇듯 유체를 현실과 가깝게 분석하는 일은 굉장히 어려운 일이다. 그래서 해파의 속도를 이론적으로 구하기 위해서는 굉장히 이상적인 가정들과 좋은 분석 툴이 필요하다. 그래서 미소진폭파 이론을 이용하여 지구과학2에 나오는 해파의 속도를 구할려고 한다.
미소진폭파

파동이론에 있어서 G.B Airy는 1845년에 미소진폭파의 분산관계식을 제시하였으며, G.G Stokes는 1849년에 속도포텐셜을 사용하여 파 이론을 전개하였다. 한편 비선형파이론인 트로코이드파(trocodial wave)이론은 1802년에 Gerstner에 의하여 유도되었다. 규칙파를 이론적으로 취급할 때 진폭이 파장에 비해서 극히 작다고 가정하고, 물입자의 연직가속도를 작다고 하여 이것을 생략한다면 파동에 대한 운동방정식은 선형이 되고 이와 같은 파동을 미소진폭파라고 한다.
1.유체밀도는 불변
2.수면인장은 무시
3.corioli's 영향은 무시
4.자유표면의 압력은 균등
5.비점성 유체
6.비회전류
7.해저는 수평,고정,불투성이어서 물입자의 연직속도가 해저에서 영
8.진폭이 작고 파형은 시간과 공간적으로 불변
9.연직 2차원 장봉파(평면)
속도 퍼텐셜
기본적으로 퍼텐셜 함수에 대해 알아야 한다.
따라서
또한
조건
그 이후로 여러 조건들이 필요하다. 이제 물리적 특성들을 고려하는 것이다. 특히 여기서는 경계조건을 이용한다.
KBC
자유표면에서의 운동학적 조건(kinematic free boundary condition)이라고 불리는 조건을 이용한다. 자유 표면은 공기와 물사이의 경계를 의미한다. 자유표면의 방정식을
여기서 미소진폭파이기 때문에 테일러 전개를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DBC
자유표면에서의 역학적조건(dynamic free surface boundary condition)은 베르누이 방정식을 이용한 조건이다. 베르누이 방정식은 기본적으로
CFSBC
합정자유표면조건식("combined kinematic dynamic free surface" or "combined free surface kinematic dynamic")
이는 "KBC"조건과 "DBC"조건을 합친 것이다. DBC를
그 결과
BBC
바닥 경계 조건(bottom boundary condition)도 이용한다. 이는 바닥에서 해파의 수직 방향 속도가 0이라는 조건으로 직관적으로도 납득할만하다.
LBC(RC, PC)
방사조건(radiation condition)은 해파가 공간적으로나 시간적으로나 반복되는 파동이라는 의미이다.
라플라스 방정식의 해
우변을
각각의 미분 방정식을 풀면 위와 같이 나온다.
BBC에 의해
따라서
DBC에 의해
따라서 속도포텐셜함수는
파형은
일반적인 속도 공식
이렇게 구한 함수를 "CFSBC"에 대입을 해주면 된다.
이를 방정식에 대입하면
이렇게 깊이
근사하기

그래서 수심이 굉장히 작거나 커서
참고
http://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5/hanyang/choyongsik/04.pdf
http://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5/hanyang/choyongsik/05.pdf
http://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5/hanyang/choyongsik/06.pdf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nodong121&logNo=221984241226
https://dms.donga.ac.kr/bbs/civil/324/77206/download.do
https://www.kyungnam.ac.kr/bbs/ship/1017/61412/download.do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2185181
https://en.wikipedia.org/wiki/Bernoulli%27s_principle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수능 물리학1] 전기 전도도 ,전기 전도율에 대한 오해 (0) | 2024.08.24 |
|---|---|
| 인스타에서 나온 유체 문제 (0) | 2024.06.04 |
| [수능 물리학1] 전기력 합성의 새로운 풀이 (1) | 2023.10.08 |
| [수능 지구과학2] 지각평형의 개념적 해석 (0) | 2023.10.05 |